엥 5번이네.
가장 까칠한 자캐
이한율
박사 겸 연구원인데 자기 연구를 위해서라면 인간실험(악질인것만) 쌉가능 근데 동물실험은 안함

0 0

💘 Love Liar TMI

강하준은 실험적인 요리를 좋아해 가끔 말도 안 되는 레시피를 시도했다가 망하곤 한다.
Timothy favors experimental cooking and tries undesirable recipes, failing miserably.

📌LINK : https://t.co/AishG8iOnN

3 36

대학생 시절 윌슨 보고싶다
막 체크무늬 셔츠 이런거 입고 신록 스킨처럼 안경 쓴 너드남 느낌으로
근데 공식에서 나온 이 글귀로는 대학의 일부를 실험으로 날린 모양인데 그렇다면 매싸윌 스킨처럼 고글끼고 가운입고 다녔을려나? 어느쪽이든 맛있겠다

2 13

후자는 레몰리 박사... 전자가 진...
결과적으로는 실험체 폭주로 인한 사고사긴 하지만 원한을 사서 레몰리 박사는 죽었고... 진은 사고가 일어나기도 몇년 전에 윤리적 갈등 끝에 애들 셋 데리고 탈주해서 살아남았다는 게...... 룽하다(이런)

0 2

A-123 "TENTACLES", 에리 스캔론
사실상 신 호문쿨루스 프로젝트의 마지막 실험체로, 진 박사의 유전자가 포함되어 진이 데려온 세 아이 중 진의 '친딸'에 가장 가까운 개체이다.
진은 에리의 탄생을 기점으로 프로젝트에서 물러났기 때문에 어찌보면 이 가족을 형성할 수 있게끔 해준 1등 공신이다.

0 4

A-121 "MEDICAL", 메드 스캔론
신 호문쿨루스 프로젝트로 태어난 실험체. 겉보기로는 진이 데려온 아이들 중 가장 평범한 인간과 같지만 작은 상처는 수 초만에, 신체 일부가 손실되더라도 며칠 이내로 회복이 가능할 정도의 초재생 능력을 지녔다.

0 1

A-110 "POWER", 앤티 스캔론
신 호문쿨루스 프로젝트로 태어난 실험체. 인간을 베이스로 만들어 졌지만 완전히 가동이 가능한 두 쌍의 팔과 강력한 완력을 가져 개미라는 별칭으로 불렸다.
밝고 활달한 성격이지만 현재 엑시포드 연구소로부터 나오게 된 현재에도 당시의 기억이 트라우마로 남아있다.

0 1

진 스캔론.
과거 엑시포드 연구소에서 일하며 신 호문쿨루스 프로젝트에 참여하였던 박사 중 한 명이었지만, 일찍이 이 일에 대한 회의감과 자신이 하는 일이 윤리성에 맞지 않음으로 실험으로 인해 태어난 실험체 몇 명을 데리고 이들을 '책임'지고자 자진해서 프로젝트와 연구소에서 나갔다.

0 13

8. 피델 & 일루리스

피델은 과학자여캐고 일루리스가.. 실험체... 파트너 같은 관계였던..
얘네도 팟캐다.. 물론 지금은 아닌 이유는 말하지 않아도 알겠지요(?)
사실 이런저런 이유로 얘네를 굴릴 마음이 들지를 않아서 거의 전신밖에 없는 비운의 애들이다 ....

0 0

실험실패로 부숭이가 되버린 카페타키

21 51

(독에 내성耐性 있는) 지크하트에게 실험적으로 저거 먹을 수 있는 거임? 하고 먼저 먹이고 멀쩡하니까 따라 먹다가 다 죽어버린 일반 용병들..
지크하트도 입안 따끔한 정도지만 독이 있다는 걸 알았는데 일부러 말 하지 않은 거면 좋겠다. 같은 사람으로 안 보고 기미 상궁 취급했으니 기분 나빠서란 https://t.co/BIFoecVYF5

1 1

삱마 연구원 실험체 에유 주세요

1 7

38. 실험에 실패한 개체들은 증거가 남지 않도록 자신을 지켜주는 호위 실험체들에게 먹이로 제공하고 있다고 하네요!

0 4

<시한부 악녀의 해피엔딩> 104화

"그 실험작이, ...바로 저였어요."


12/3(토) 카카오페이지 22시! 유료 104화/무료 94화 오픈🤍
📌https://t.co/xAyjCPPj5I

5 9

색분리랑 그래뉼 예쁘게 뜨는 조합 실험하기....(더이상 그림재료가 아님 걍... 뭔가 잉크덕질 그런걸 하는거같음

0 6

팔퍼스.. 굵직한 스틱캐자인데 팔 잘리고 대신 촉수 이식해서 실험했다가 성공적으로 안착해갖고 불어나서 팔대신 촉수가 붙은 애임 촉수마다 늘어나면 사거리 최대 2미터 조금 넘고 개수는 아직 정해놓은건 없는데..(옛날그림 보여서 들고옴) 암튼 근거리 전투 특화뭐시기 됨. 여캐임

1 36

에테르실험으로 커진 생물체를
조사하던 헤르메스는
이 생물체가 왜이리 친근하게 다가오지?
했었다

0 3

8. 덱스터(덱스터의 실험실)
중학교때 카툰네트워크에서 많이 하던 기억이 납니다.
제가 에그맨을 좋아하는이유와 같이 먼가 메카닉하고 과학적인 캐릭터를 좋아했지요
중학교때 장래희망이 과학자였던건 에그맨과 덱스터의 영향이 컸습니다.

0 1

다날란의 알라그 흔적 마지막입니다.

다날란 나무꾼의 비명 막넴인 키마이라입니다.
카드 설명에는 다들 어떻게 키마이라가 탄생했는지 모릅니다.
그리고 우리는 이 존재의 기원을 알라그 아지스라 생물 실험구역에서 발견할 수 있습니다.
알라그의 생물이 왜 다날란에 있는 걸까요?

18 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