격삼 재연재하셔소 정주행중인데 새삼 정말 지태 추락하는거 다 떡밥으로 나와있었구나..

30 43

[런웨이 히트] 외전 마지막 화가 업데이트되었습니다🐶🐱

길다면 길고 짧다면 짧은 2년동안 런웨이 히트를 봐주셔서 감사합니다!
응원해 주시는 쌤들 덕분에 연재하는 동안 힘낼 수 있었습니다! 감사합니다🕺💃✨

🔗https://t.co/2pNZVxm5Gk

255 2077

스스유로 세계관 묶이고 웹이세 연재하면서 이렇게 축전 연결지어서 챙겨주는거 너무너무좋아..............

194 498

예를 들어 이 디지몬의 눈은 가면 안에 따로 존재하는 게 아니라
그냥 저 눈이라고 봐야하는 것 https://t.co/oKzcml6Kpj

2 3

완전함을 향해 나아가는 불완전함이 가장 안정적인 형태의 세계고, 불완전하기 위해 존재하게 된 헛점 중 하나가 '불멸자'고 또 다른 헛점은 '법칙'
한계점을 넘은 자들에게 정립되는 새로운 법칙이 기사의 강함, 통찰의 눈, 그리고 기어스

1 1

아니 근데 미스타는 어떻게 이름도 미스타 리아스임?
그냥 캐릭터가 딱봐도 미스타 리아스처럼 생겼어
이 6글자는 미스타를 위해 존재하는 듯

3 33

저진짜 너무놀랏어요.
사진추가기능이라는게존재하는줄도몰랏는데 지금저를위해서 따로그려와주신건가요..... 이 아기별사탕 우뜩하죠 별사탕이 별사탕을안고잇는 진귀한art를 제가 감히 봐도되는건가요. 아기별아티스트님덕분에너뮤행복해요..... 구dog계님 감사해요사랑해요..

0 2

진심 코운이가 얘랑 같은 세계관에 존재하는 인외였단 말이지...ㅋㅋㅋㅋ 근데 이제 각각 커뮤에 데뷔함(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0 2

오르카, 귀능 개인봇 모십니다.
개인적으로... 오르카 천사님과 귀능 천사님 두 분이 소통하셨으면 좋겠습니다.

연재하고 있는 팬픽 소설인 바다토끼의 우울이라는 작품의 설정대로 관계를 짜고 싶습니다...

두 분 다 모셔지면 rt 한 분 추첨하여 1만원 상당의 기프티콘 보내드립니다

84 5

<신이담긴아이/신담아>

무료 91화가 업로드 되었습니다!
91화 보러가기 :https://t.co/9HgE4jQcx0

92화 이후부터 <신이 담긴 아이>는 스토리 정비를 위해 약 3개월간 휴재하게 되었습니다!

완결까지 함께 해주셨으면 합니다.🥹
감사합니다.☺️

25 23

일심동체는 존재하며, 그들은 트레센 학원에있다

0 2

안경없으면
자컾이존재하지않는
세계관

0 3

안녕하세요 처음 뵙겠습니다 😄
인스타툰 연재하고있는 피넛이에요 🤣

많은 분들이 봐주셨으면 하는 마음에 트윗계정을 만들었답니다!

회사다니면서 하는 망상썰을 만화로 그려봤어요! 다음 내용이 궁금하시다구요?!
아래 링크로 와주세요!🥰
https://t.co/prgkm0FhfS

1 2

아키코하

내게 명령을 현재
내릴 수 있는
여자가 존재하지
않던 시절

28 47

엥..............동기조 살아잇는거 아님? 엥? 여기 잇는데? 존재하는디?

0 0

시러요 제 앤캐 볼래요 이것좀 보세요... 이렇게 사랑스러운 캐가 어뜨케 이세상에 존재하는걸까요... 이런갓캐가 제 앤캐...? 기적 그자체죠 호롭쫍쫍

0 0

5화에 르웰린이 입은 이 옷은

‘우아한 야만의 바다’를 연재하고 계신 MINIM작가님께서 공유해주셨습니다.🥹

16화에서 이리나가 입고 나와요❤️
많이 개조해서 흔적만 남았지만…

우야바 보러가기⬇️
https://t.co/FRkqcL10Sq

35 112

이분야 갑 잭더리퍼 까먹을 뻔;;
페이트 아포크리파와 페그오에 나오는 잭은 헐벗은 여자아이지만
페이트 스트레인지 페이크에 나오는 잭더리퍼는 정해진 모습이 존재하지 않는 정중 인외 신사임(3짤 시계가 바로 잭더리퍼입니다…)

페스페 잭 실장좀요…

48 17

한여름밤의 왕세제님 pt 2 (8/8)
와 이제 프롤로그 끝났는데 상+하 도합 58페이지였음... 도와주세요 한국 웹툰 작가들은 이걸 어케 매주 연재하시는거야 난 1년 걸쳐 겨우 2화 그렸는데

0 4

2020년부터 〈Multiverse Traveler〉 세계관을 이어가고 있다. 이는 가상 공간이 물리적 공간이자 인간의 확장된 감각 수용체로서 기능할 수 있을지의 가능성을 탐구하는 작업이다. 우리 누구에게나 존재하는 '내면의 동거인(inner cohabitant)'을 가상 공간으로 이주시켜 ‘나’와 함께 성장하고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