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ime() ?>
대한제국시기 하사졸이하 견장을 기록 토대로 만들고있는데 기록에따르면 "단대호"를 황색융으로 기입한다고 되있는데...... 단대호가 "시위대" 일까 "시위1"일까 "시위"'
일까..... 당시 사진기록에 자세히 보이지도 않고
유일한게 이 "지힘"인데 무슨의미지.....
1906년 대한제국군 헌병상등병 상장차림
MP Private First Class ,Service dress,
Korean Empire Army,1906
이거 진짜 이런식으로 실사체로 대한제국 복식들 일러스트 그려서 하나하나 세세하게 옷입는법,도검 패용법,옷무늬 등등 다 상세히 도식으로 해서 책만들까 진지하게 생각중
90. 한복의 변천사
(*조선시대의 한복은 6~70년대까지 입어왔지만, 일제 강점기 시절부터 서양의 옷을 입는 사람이 많아졌다고 생각해서 그림 내에서는 대한제국까지라 적어뒀습니다)
(그리고 (고조선 제외)평민 기준인데 원래같으면 염색복은 안입고 다 하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