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ime() ?>
데드풀은 고양이상에 가까워서 전투 상황일 때 눈을 보면 마치 조련 되지 않은 맹수처럼 굉장히 사나워 보입니다만 본인에게 딱히 위험한 상황이 아니라고 판단될 경우 바로 오른쪽 사진처럼 호기심 많은 길고양이의 눈으로 변하기 때문에 이걸 알고 코믹스를 읽으면 꽤나 관찰하는 재미가 있습니다.
데드풀은 분위기 파악하기 어려운 캐릭터 중 하나라고 생각하는데, 어떨 땐 동네 바보처럼 지저분하게 다 묻히고 먹다가도 술 마시는 장면만 들어서면 중년 남성 특유의 농후한 분위기를 흘려서 혼란이 오는 경우가 종종 생기기 때문입니다.
생각해보면 스덷 이슈 전의 스파이더맨은 항상 데드풀을 힘으로 제압했던 것 같다. 저 상황도 데드풀이 전투 중 흥분에 못 이겨 아군 적군 안 가리고 날뛰기 시작하니까 거미가 주먹 한 방에 기절시켜버린 장면임. 거미는 저걸 나름대로 효과적인 데드풀 대처법이라고 생각했나 봐.
4. 심한 두통과 스트레스
데드풀의 암세포는 뇌까지 미치고 힐링팩터와 맞물려 뇌세포, 조직의 파괴와 재생을 거친다. 그 과정에서 더욱 정신이 산만해지며 손상이 심할 경우 환각증세를 보인다. 특히 뇌세포와 조직의 파괴가 다양한 수준의 통증을 야기하는 것으로 예상된다.
즉 데드풀의 피부는 궤양, 결절, 고름으로 진물 흐른다. 또한 근육조직이 보일 정도로 괴사하게 되었기에 힐링팩터의 재생능력으로 꾸준히 그 피부는 웨이드의 피부조직을 변형하게 되었다. 결국 데드풀은 가려움, 통증, 근육조직이 피부에 쓸렸을 때 느끼는 통증을 기본적으로 느끼며
여기서 힐링팩터는 큰 부작용을 낳았다. 데드풀의 피부암은 세포를 파괴 및 돌연변이 일으키고 괴사하게 만들기에 힐링팩터가 끊임없이 피부를 재생시키는데, 불행하게도 암을 제거하는 것이 아닌 암 혹은 암이 될 세포 또한 만들기 때문에 데드풀의 악성종양은 사라지지 못했다.
[데드풀에 대한 몰랐던 진실]
모두가 알다시피 데드풀의 힐링팩터는 신체를 빠르게 회복하며 일정부분 진통 효과가 있다. 그러나 이것이 데드풀의 모든 고통을 차단하는가에 대해선 의문점이 많다. 그러므로 오늘은 ‘데드풀은 평소 고통을 느끼는가’에 대해 알아보려고 한다.
* 데드풀 맨얼굴 주의
이번 울버린 이슈도 정말 만족했습니다. 이 이슈를 그린 아티스트에게 박수를 보냅니다. 내용도 크라코아의 모두가 데드풀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는 사실을 누구보다 더 잘 알고 있을 데드풀이 끊임없이 X-force 멤버가 되고 싶다고 울버린에게 어필해대니 역시 마블 대표 고집쟁이답다 싶었네요.
사실 캡틴 아메리카는 데드풀의 실력을 보고 그를 긍정적으로 바라본 적이 있었습니다. 그러나 데드풀이 혼자 들떠있다가 일을 망쳐버린 사건 덕분에 화가 난 캡틴이 넌 위험하다며 등을 돌렸고 이러한 캡틴의 태도에 크게 상처받은 데드풀은 "그래 맞아, 냉정한 양반.. 난 위험해."하고 울먹였더랬죠. https://t.co/6Rk63lvo6P
코믹스 속 데드풀이 담배를 피우는 장면은 희귀한 편이나 호스피스 동료들과 대화하는 장면에서 그가 담배 피우는 모습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또한 이 이슈는 웨폰X 속 데드풀의 삶이 잘 나와 있기에 추천합니다. 하단에 코믹스 정보를 남깁니다.
Comics: Deadpool & Death Annual
Writer: Joe Kelly https://t.co/ktkd45dCfN
데드풀은 트위터리안이다. 그는 트위터를 주로 일상 속 잡담이나 팬들과 소통하기 위해 사용하며 자신의 팔로워 수도 꽤 의식하고 있는 것으로 묘사된다. 그 예시로 "Intermittent chronal particles"와 같이 특정 단어를 쓸 때마다 팔로워가 백 명씩 줄어드는 이유에 대해 의문을 품은 적이 있었다.
어느 날 데드풀은 어린 고양이 집사의 부탁으로 나무에 올라가 내려오지 않는 고양이를 구출한 적이 있는데, 고양이가 고된 구출 작전으로 힘없이 축 늘어져 있자 걱정돼서 울상인 아이를 안심시키기 위해 데드풀이 직접 "Meow?"하고 울어 방긋 웃도록 만든 일화가 있다.
데드풀의 행동은 그의 불안정한 심리 상태에 많은 영향을 받기 때문에 그가 처한 상황에 따라 달라진다. 그러나 확실한 것은 데드풀은 무고한 사람을 죽이거나 해치지 않는다. 그러나 자신에게 정신적, 물리적 위협을 가하는 경우 자기방어 차원의 공격성이 높아진다는 사실이다.
데드풀의 자기파괴적 성향은 근본적으로 데드풀이 '웨이드 윌슨'을 사랑하고 마주하지 않는다면 바뀌지 않을 것이다. 또한 이 과정은 데드풀에게 매우 힘들며 여러번 포기해온 것이다. 이것이 그가 아직까지 자신의 몸을 혹사해오고 영혼이 갉아먹히는 이유로 자리매김한 이유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