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ime() ?>
2022년 한해 동안 정말 감사했습니다. 여러분 덕분에 만화로 이야기할 기회도 얻고 이곳 저곳 즐겁게 돌아다니며 문화재 구경도 많이 할 수 있었네요. 앞으로도 계속 우리 건축들에 대한 이야기들을 조금씩 들고 오겠습니다. 다들 올해 즐겁게 마무리하시고 내년에도 계속해서 잘 부탁드립니다...!!
이번 주 우리건축이야기는 번외편입니다! 고구려의 기와에 대한 4컷 만화와 실락이가 연무를 무서워하게된 짧은 이야기가 같이 있으니 무료로(중요) 보고가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다음 주는 대망의 신라건축입니다.
https://t.co/SZEpvSqr9L https://t.co/CPVFnjp1ba
최충헌, 최우 부자가 지은 개경 내 저택은 하늘에 닿을 듯 높았다는 십자각부터 천여명이 들어설 누각과 궁궐에만 있던 구정과 같은 거대한 규모의 격구장까지 설치해 사치의 끝을 보여줬고 이 과정에서 대궐 인근의 민가 수백여채가 헐리게됩니다.
이런 긴 시간동안 내부 구조도 당연히 여러 변화를 거치는 것을 보여줍니다. 창동기 무렵에는 원시적인 온돌과 쪽구들이 설치되어있던 것이 통일신라 무렵이 되면 ‘T’자형, ‘ㄱ’자형 온돌이 설치되고, 고려시대에 들어서면 벽로가 추가되는 등 보다 복잡하게 변합니다.
오늘 글은 전근대 한반도 서민들의 일반주거입니다. 흔히 대중매체에서 일반 서민들의 주거는 초가집으로 묘사되곤 하지만 일부 유적들을 보면 수혈주거라는 원시적인 시설에서 오랜 기간 거주했던 것으로 보입니다.
이른 시기부터 외국에서 문물을 수입하고 이를 자신만의 기술로 습득한 덕분에 시간이 지난 뒤엔 신라와 일본 같은 외국에도 영향을 줄 만큼 성장하게 됩니다. 물론 이런 선진적인 건축문화를 가지게 된데에는 나름의 어려움도 있었습니다.
https://t.co/SZEpvSqr9L
우리건축이야기 번외편 <비밀무기?>
낙랑의 유물공격에 질 수 없던 상아를 위해 찰떡들이 가져온 고조선의 비밀무기…?
<우리건축이야기>는 이만배에서 보실 수 있습니다
https://t.co/SZEpvSqr9L
안녕하세요 쿠쿠입니다. <우리건축이야기>가 격주로 월요일마다 #이만배 에서 연재됩니다! 삼국시대부터 조선시대까지, 우리건물들을 같이 훑어봐요! 🧐
https://t.co/SZEpvSqr9L
청기와 장수 같다는 말이 있습니다. 비법이나 기술을 자기만 알고 남에게는 알려주지 않는 사람들을 일컫는 말인데요, 그만큼 청기와는 아주 오래 전부터 비싼 사치품의 상징이었습니다.
1화에서 목재를 쓴 이유를 들면서 고조선과 낙랑에 대해 잠깐 언급했었는데 이때의 건물들에 대해 궁금해하시는 분들이 계셔서… 일단 저도 궁금합니다… 자료도 자료거니와 당시 중심지들이 국경 밖에 있다보니 조사 자체가 불가능한 경우가 대다수이고 전공자분들의 주장도 여러개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