낙동강 하구에서 만난 중부리도요입니다. 봄과 가을에 흔히 한반도를 지나가는 나그네새입니다. 가을보다는 봄에 많은 무리가 눈에 띕니다. 다른 도요새와 달리 내륙 의 건조한 밭에서도 무리를 볼 수 있는데 초여름까지 지나갑니다.

1 3

경남 남해에서 만난 검은목논병아리 입니다. 검은목 논병아리는 먹이로는 작은 물고기나 갑각류의 유생, 복족류, 잠자 리,개미 등의 곤충류를 먹습니다. 우리 나라에서는 남해 연안에 찾아와 겨울을 나는 겨울철새로 낙동강하구에서 볼 수 있습니다.

3 8

철새도래지 주남저수지에 월동중인 청머리오리입니 다. 수컷은 머리가 녹색이고 머리꼭대기에는 암갈색 이 길게 늘어진 깃털 다발을 하고 있습니다. 우리나 라에서는 흔하지 않은 겨울철새로 강, 하구, 저수지, 해안에서 관찰됩니다.

7 12

제주도 하도리에 만난 학도요입니다.봄과 가을에 한반도를 통과 하는 비교적 흔한 나그네새입니다. 해안의 간척지 ,얕은 물가, 소택지, 해안,하천의 초지,하구의  삼각주,논,못 등 물가에 도래하나 대체로 해안 가까이에 많으며 드물게는 하천과 호소 등지에서도 관찰됩니다.

2 5

토요수수께끼입니다. 우리나라를 찾아 오는 흔한 겨울철새로 덩치가 무척 작은오리입니다. 주남저수지 얼음 위를 걷고 있는 이 녀석에 대해 아시는 데로 적어 주세요.

1 7

토요수수께끼입니다. 우리나라를 찾아오는 겨울 철새지만 10년 중국에서 기증 받아 창녕 우포늪에서 증식중입니 다. 동요의 주인공이기도한 이 녀석에 대해 아시는 데로 적어 주세요.

2 5

철새도래지 주남저수지에 천연기념물 재두루미 300마리 찾아와 장관 연출하고 있습니다. 지난 주말 한파를 피해 철원지 역에서 월동하던 재두루미 100여 마리가 남하해 300여 마리로 개체수가 늘어났습 니다. 녀석들이 안전하게 월동할수 있도 록 각별한 보호가 필요합니다.

6 21

철새도래지 주남저수지 상공을 가창오리 암수가 날고 있습니다. 최근 주남저수지 에 오럣만에 찾아 온 가창오리는 사진 작가들의 발길을 붙잡고 있습니다. 올 겨울 가창오리가 안전하게 월동하고 내년에는 10배의 개체수로 돌아 오길 기대합니다.

2 6

우리나라 찾아와 월동하는 넓적부리는 겨울철새입니다.넓적부리는 우리나라 에서는 중부 이남 전역 에서 겨울을 나지만 흔하지 않은 오리입니다. 해안, 하구,호수,논 등에서 무리를 이루어 낮에는 안전한 곳에서 잠을 자고 밤에는 먹이를 찾아 활동합니다. 

6 8

토요수수께끼입니다. 본격적으로 겨울철새들이 월동을 위해 우리나라로 찾아 오고 있습니다. 우리나라에서 월동을 위해 찾아 옵니다. 이 녀석에 대해 아시는 데로 적어 주세요.

5 6

우아하고 고고한 혹고니입니다.우리나라에서는 매우 귀한 겨울철새로 우리나라에서는 1968년 5월 31일 천연기념 물 제201-3호로 지정되었고, 2012년 5월 31일 멸종위기 야생동식물 1급으로 지정되어 보호받고 있습니다.

9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