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ime() ?>
이런 거라던지 보면 소실점이 맞아떨어지지 않을 뿐더러 수평선도 같은 높이에 있지 않을 때가 있죠
하지만 하나의 스타일로 느껴짐
@steelbreak 심지어 내러티브 작화용 설정도는 ‘작화감독’ 하던 양반이 그렸다며 소실점도 제대로 안 잡아서 오른 팔다리가 왼 팔다리보다 명백하게 긴 괴악한 물건을 오피셜이라고 내놓고…(절레절레)
메카 바닥 질적인 저하가 심각한 거죠 아무리 봐도
🔔오늘만 30분 기다봄!⌛️<소실점>
봄✿툰 {어제의 유료, 오늘은 무료!}
“오랜만이네요.”
“……제가 전무님을 뵌 적이 있었나요?”
“나 기억 안 나요?”
제안의 탈을 쓴 강요로 시작된 부적절한 관계
평행선 위에, 두 사람의 관계가 그어지기 시작한다!
👉https://t.co/5A16qPreW3
#소실점 #무공진
<소실점 완결 기념 소장본 증정 이벤트!>
약 1여년간 소실점을 함께 달려 주신 모든 분들께 감사드립니다.
여러분들 성원과 응원으로 무사히 완결까지 도달했습니다.
감사한 마음으로 완결까지 달려 주신 분들께 소실점 소장본 CD 드립니다.
아래 주소를 참고 부탁드립니다.
https://t.co/KWp61MK7VG
배경 그릴때 초보자분들이 제일 많이 하는 실수 눈높이선맞추기..
간단하게 말하면 모든 물체의 소실점을 눈높이선(수평선,지평선에 해당)에 위치시켜야함. 눈높이선은 중간에 바꿀수없고, 물체의 윗면과 아랫면이 자연스럽게 펼쳐질경우 화면이 자연스러워보임
https://t.co/jJCpFR2dpi
RT번)아까 들어왔던 질문, 변칙적인 투시와 대책에 대한 해설 정리.
소실점의 외부는 부자연스럽게 되므로 2점투시 이상에선 소실점은 화면 밖으로 빼는 것이 무난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