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은 1919년 3월 1일, 일본의 국권침탈과 식민지배에 맞서 한국의 독립을 선언하였던 3.1 운동을 기념하는 104주년 3.1절입니다. 오늘 하루, 단순한 공휴일이 아닌 이 나라와 민족의 독립을 위해 일제의 잔악한 총칼에 맞선 선조들의 정신을 기려봅시다.

44 88

히틀러에게 수상하지만 돈이 많은 퍼리가 붙었다면 식민지시대는 좀더 이어졌겠지...
-응?

0 0

이토 히로부미와 식민지 시기 조선 총독들(순서대로 데라우치 마사타케, 하세가와 요시미치, 사이토 마코토)

...미화가 상당히 과한 AI라고 생각합니다

0 0

어 근데 9세대 배경이 스페인...
스타팅이 멕시코...?

이색....?

0 1

다들 RRR봐조요..... 정말 재밋어요... 얼굴도.. 내용도..... 난 잼썻음 근데 식민지배 당햇던 나라 출신으로서 빡이 좀 칠 수 잇음 허지만 그만큼 몰입도 할 수 잇음....

4 10

[작가] 오늘은 미국의 화가 『존 싱글턴 코플리(John Singleton Copley)』이 태어난 날 입니다.
1738.07.03 - 1815.09.09
● Artist CV: https://t.co/MqqMw0Z1Dq

인물과 역사적 주제를 다루었으며, 식민지 시대 미국의 가장 뛰어난 화가로 널리 인정받고 있다.

0 1

창경궁 내의 박물관은 1909년에 제실박물관이라는 명칭으로 개관하였다. 식민지 시기에도 박물관으로 사용되었는데, 정전인 명정전도 박물관의 일부로 사용되었다.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소장본 안내도를 보면, 이곳에는 석제 유물들이 보관되어 있었다. 그림 속 전시품은 석제 유물이었을 것이다.

6 16

한편 백인 여성 작가와 식민지 여성 작가 사이에는 공감대가 있는 듯 하다가도 뿌리깊은 반목이 드러나는데

6 8

여기 절반은 내 앤캐일듯 @:제국주의 식민지배

0 3

11월 3일 학생독립운동기념일,
독립을 향한 학생들의 외침

일제식민지정책에 항거한
학생들의 용기와
희생정신을 기억해주세요.

제92주년 학생독립운동 기념식은
국가보훈처 유튜브 채널을 통해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일시 : 2021.11.3.수 11:00~11:40
https://t.co/kNHkEun4Ho

91 102

프랑스가 식민지로 보유한 북아프리카권 출신들로 구성되어 점차 프랑스인들도 소속되어 특이한 군복으로 유명한 주아브. 이 주아브는 미국과 브라질 제국에도 있더군요.

1 3

포르투갈 식민지 시기의 브라질에서 반데이라(포르투갈어로 깃발) 라는 집단의 구성원들인 반데이란치스(포르투갈어로 기수). 브라질에서 탐험가들이자 원주민들 노예로 잡아가는 노예사냥꾼 겸 광산탐사를 한 업적이 있다고 합니다. 의외로 대부분은 원주민과 원주민 혼혈들이 주구성원.

0 2

그러고보니 최근 특이한 사례에서 제보드릴 게 있습니다 포르투갈 식민지 시기의 브라질에서 활동한 반데이라 라는 부대의 구성원들인 반데이란치스 라고 합니다

0 4

프랑스 식민지배 당시 서아프리카 세네갈 출신들로 이뤄진 부대가 쓴 마체테 형태의 무기라는 쿠쿠. 참고로 쿠가 프랑스어로 정권 때리기라는 뜻의 쿠데타의 그 쿠이더군요. 대략 의역하면 퍽퍽! 이란 의미랄까...........

0 4

영국 식민지 시대 전후 인도에서 활동했던 유일한 여성 화가 암리타 셰르길의 자화상과 강렬한 색채로 하급 계층 여성들을 표현한 작품들.

제3세계 여성 화가들의 작품에 표현된 계급 의식과 페미니즘 정서에 대한 실마리를 찾을 수 있는 작품들.
찬드라 모한티의 <경계 없는 페미니즘> 함께 읽기.

8 30

고래별 보는 중인데 어미어마하다
당시 조선 여성의 식민지 여성성? 젠더와 계급, 식민지라는 위치성 교차에 대한 작가의 사유가 느껴짐

8 24

해수가 동경하고 그리워하고 찾았던 조선의 물내음을 말하는 의현, 식민지가 된 조국의 독립을 갈망하는 자신들을 겨울의 백성에 비유한 송창준과 그 말을 곱씹으며 삶의 나침반으로 삼는 아들 해수, 나의 세계였던 윤화를 잃고도 아픔을 딛고 홀로 성장하는 수아..

5 3

브라질이 포르투갈어를 쓰다보니 포르투갈은 물론이고 과거 포르투갈의 식민지였던 앙골라, 모잠비크, 동티모르, 마카오도 HUE를 외치기도 한다. 다만 앙골라, 모잠비크와는 식민지 시절 문제로 관계가 그닥 좋지만은 않아 잘 안 쓴다.

2 6

벨기에 식민지인 콩고 자유국의 용병경찰 영문명 퍼블릭

0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