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ime() ?>
비형랑의 실제 인물은 김용수로 추정되는데,
폐위된 진지왕이 죽고나서(혹은 유폐중에) 생겨났고 합니다.
진평왕의 양자이자 비담의 동생, 김유신의 후견인, 문무왕의 조부라는 혈통적 배경이 어마무시한 분이고,
무려 신라의 랜드마크 황룡사 9층 목탑 건축의 총책임자였다고도 합니다.
까마귀 정령 자매입니다. 이름은 연아와 세아.
아달라 이사금(8대) 의 연오와 세오, 소지 마립간(21대)의 사금갑과 서출지 설화를 기반으로 했습니다.
따라서 둘은 신라 전기를 대표하죠.
연오 세오는 둘 다 이름에 까마귀 烏가 들어갑니다.
캐릭터 이름도 烏를 갈가마귀 鴉로 바꿨을 뿐이에요.
거타지입니다. 이름은 토리 (화살대에 끼우는 고리).
미르가 신라 중기를 대표한다면,
토리는 신라 후기의 대표입니다. 진성여왕때 인물이거든요.
기본적으로는 화랑의 여러가지 속성을 섞어 만들었고,
거타지 설화에서 따왔으니 기본적으로는 궁술과 통찰의 능력을 가지고 있습니다.
솔직히 누가봐도 문무대왕님이시다.
이름은 미르로 할까 생각중.
아무래도 용이시니까.
머리의 뿔은 신라금관
손에 든 피리는 옥적 (만파식적)
허리에 찬 금속 자는 금적
뿔에 달린 곡옥은 화주
이렇게 세 개 모아서 신라의 세 보물 (삼기) 를 지니는 것 = 신라 왕가를 대표하는 캐릭터입니다.
신라의 군사조직 구서당(九誓幢) 복식에 대한 추정안 수정본
+금(衿)에 대한 보완과 색감에 대한 수정.
정덕기 선생님의 연구도서《신라 상대 관복제도사》에 근거. 신라군이 복식에 부착한 금(衿)의 범위를 옷깃•수구•도련에도 적용. 비(緋)색은 당시 색감으로 진분홍에 가깝다는 것을 반영함.
《그림으로 보는 신라의 지방군 10정(十停)과 만보당(萬步幢)》
신라의 지방군인 십정과 만보당에 대한 이미지 자료가 턱없이 부족하여 제가 직접 만들었습니다.
십정은 어디에 배치되었고, 그 상징색은 무엇이었으며, 만보당의 배색은 어떠하였는지를 나타내었습니다.
복식은 십정의 경우… https://t.co/Obb2uHCKUq