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RTISTSINKOREA2024 참여 작가◢


한국, 일본, 중국 등 아시아 위주로 활동하고 있습니다.
길찾기 「DS마일의 CG 일러스트 테크닉」
BNN 화집「Dear Smile」

4 11

동아시아 퍼리경쟁에서 남한은 심각하게 도태 되고 있습니다

937 1184

230405 Taipei

범규야 아시아투어 너무 고생 많았어 🥹🥹🥹
너무 좋은 추억 만들어줘서 고마워!

363 1482

우리가 살아가기 위해서는 의식주가 매우 중요합니다👕🍚🏠

그 중 나무를 너무나도 사랑했던 동아시아의 건축 역사를 알아보는건 어떨까요?

5 10

동남아시아의 필리핀과 말레이시아에 걸쳐서 거주하는 이라눈족 해적을 그린 19세기 그림. 마인어(말레이 인도네시아어)로 이 이라눈족을 어원으로 해적이란 뜻의 라눈이라 부르던데, 특정집단을 해적으로 여기는 게 어원인 점에서 개인적으로 왜구와 같은 유래라는 감상이 드네요.

4 7

그리고 지금 <좌충우돌 몽골제국사>를 보시면, 자동으로 무료 대여권을 드리고 있습니다.

이번 주에는​ 본편 8화를 무료로 대여하실 수 있습니다!

본편 8화에서는 소주에 취한 중세 유라시아의 이야기를 소개합니다! 중동의 증류주 문화는 어떻게 동아시아의 대중적인 음식 문화가 되었을까요?

2 5

태웅백호로 서테웅이 아시아게임 때문에 잠깐 들어오고, 강배코는 이제 막 국대로 지명돼서 서태웅, 강배코, 김판석 이렇게 셋이 국대 막내야. 대충 4강 신화 이룩했는데, 경기 끝나고 둘이 락커룸에서 싸워서 방송국에서 몰카형식으로 둘이 친해지길 바래같은 거 짜면 어떠캄. 기획은 정데만이함🥲

148 358

어릴적 저는 암호명 이웃집 아이들 이라는 애니메이션에서 3호를 좋아했습니다.
아마 아시아계에 대한 친근감이나 해맑고 낙천적인 성격, 자기가 좋아하는 것에 대한 반전 매력 등이 그 이유가 아닐까 추축했지요.
그리고 오늘, 저는 한가지 깨달았습니다.
어라? 나 그냥 실눈캐라 좋아한건가.

헨-멘

0 18

오늘도 어김없이 하는 꽃 얘기
흰장미 제외하고 3종류나 더 있으니깐 타래로 함

먼저 이 꽃은 부케 난초로도 많이 사용되는 호접란인 팔레놉시스라고도 불림
원산지는 동남아시아
꽃말은 행복이 날아온다(꽃잎모양이 나비 같아서 생긴 꽃말)인데
그중 하얀색 호접란의 꽃말은 청순이라고도 함 https://t.co/qfBk5EVR7m

12 19

한편, 일부 연구자는, 이 분수가 몽골제국의 광활한 영토를 상징한다고 추정했습니다.

각 술의 명산지에 따라서, 포도주는 서아시아, 마유주는 초원, 꿀술은 러시아, 쌀술은 중국을 의미한다는 것이죠.

지배층의 연회가 몽골제국에서 중요한 정치 행위였던 만큼, 흥미로운 해석입니다 🍻

18 32

충격.. 한국보러 20시간 걸려 슬램덩크가는 몬트리올 거주 동아시아인 실존....

46 82

주문하신 그림 나왔어요~~~~시아시아님~~~~~!!!!! 배경 투명화가 안되어 있거나 오류가 있을시 알려주세요~~~

0 0

한편, 중세 동아시아에서도 매사냥의 지침서가 등장했으니, 바로 고려의 <응골방>입니다.

13세기 후반, 고려의 충렬왕은 몽골제국의 사냥매 징발 등, 한반도 안팎 수요를 충족하기 위해 '응방'이라는 기구를 설치했습니다. 이 책 역시 그러한 배경 속에서 작성된 것으로 여겨집니다.

5 6

고대 유럽, 인도, 저 먼 중남미도 대부분 돌로 건물을 지었는데 왜 동아시아에는 목재건축물이 많을까??

중국, 일본과는 다른 우리만의 고유 양식은 뭘까?

우리의 건축 이야기가 궁금하다면?

ps.20일부터 진행하는 반값할인도 놓치지마세여(╹◡╹)

7 7

전형적인 남아시아 미인 얼굴을 존나 감탄나오게 빚어놧음 ㄹㅇ… 특히 원화는 캐주얼하고 데포르메가 많은 그림 스타일이라고 해서 표현이 안 될 이유는 없다는거지 모델링도 그래픽이 전반적으로 후져서 그렇지 그 얼굴 자체는 잘 살렷다고 생각해

1 9

그렇게과대포장스티커사고 분리수거도안하고그러면
마스터아시아가이런포즈로 와서
님죽일걸요

13 10

로열조가 아시아를 씹어먹는단다.
×발 나도 힘들다..

522 1016

<좌충우돌 몽골제국사> 8화를 읽은 몇몇 독자는 이런 의문을 가질 것입니다.

'이슬람은 음주를 금지하는데, 중세 서아시아에서 증류주 문화가 시작되었다고?'

결론부터 말하면, 이슬람 문명의 중심이었던 중동에서도 술을 마셨습니다. https://t.co/vDYcoKSEbf

68 74

【#신년인사】

2023년 계묘년에도 저희 아시아지점은

언제나 한결같은 마음가짐으로

더욱 재미있는 한국어화 게임과 함께

여러분을 찾아뵐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

잘 부탁드립니다.

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

76 13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