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ime() ?>
신라시대 승려의 역할을 생각하면 화랑의 교육자+환자를 치료하는 의료기술인까지 맡는 모양이다. 이런 광경 사극으로 보고 싶어여.
대략 이런 식으로 화랑 낭도들이 셀카 찍는듯 하다
동료의 칼을 잡아든 낭도
2018년 5월달에 고구려 대장간 마을에서 이슬님, 서율님, 짜미님까지 해서 촬영했는데 5월이고 해서 생각난김에 올려본다.
조선군 인스타그램 울산성 전투 中 가등청정의 저승사자가 되고자 하는 의지가 느껴진다.
문종과 수양대군(훗날 세조)의 셀카
역사+인스타그램 컨셉도 나쁘지 않은데? 이른바 문종 인스타그램
@medievalart_kr 원래 복장의 형태적인 면으로 분류하면 아래와 같은데 그렇게 구분되는 이유로 가장큰게 '기후'적인 요소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옷깃 기원설 중에서 유목사회 기원설 목도리->카라가 있는 털가죽->옷깃 으로 되었다고 하는데 복식사 덕질人 님들은 어찌 보시나여?
작년에 태화강 국가정원에서 찍은 사진을 그려봤다. 모델 이슬님을 이런 그림체로 그리니 귀엽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