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ime() ?>
미카즈키 의상에 보이는 이런 부분. (통상 미카즈키의 의상은 카리기누풍)
헤이안 시대 남성의 호(겉옷)는 이런 방식으로 매듭구슬을 고리에 걸어 옷깃을 닫았습니다.
톤보蜻蛉 내지 톤보다마蜻蛉玉라고 합니다. 매듭구슬이 잠자리의 머리를 닮았다고.
6월 28일
아츠시 토시로 & 켄신 카게미츠의 일본 국보 지정일(1956년),
부젠 고우의 일본 중요문화재 지정일(1956년)
아츠시 토시로, 현 일본 국보 공예품 제183호
켄신 카게미츠, 현 일본 국보 공예품 제185호
부젠 고우, 현 일본 중요문화재 공예품 제1784호
축하합니다 🌸🌸🌸
도검남사와 함께하는 일본 전통의상:
카리기누와 스이칸의 차이
히자마루와 이마노츠루기를 모델로 설명.
둘 다 헤이안 남성 복식입니다.
※ 개인 목적의 2차창작 (의상변경 포함)
※ 비전문적인 취미&참고용으로만 봐주세요
중상일러도 어깨를 감싼 옷과 별개로 안에 다른 옷자락이 늘어져 보이기도 하고...
......그러니까 도록 좀 발매해주십쇼 설정화 나올 남사도 많이 쌓였수다
헤이안 시대 귀족 남성에게 피리는 교양의 기본이었다고 합니다.
'후에(피리)'라고만 하면 대개 '류테키'라 불리는 가로로 부는 피리.
그 외에도 '사쿠하치(샤쿠하치. 세로피리의 일종)', '코마부에(한반도에서 전래된 피리)' 등을 간혹 불었습니다.
(사진은 <겐지모노가타리에마키>의 일부)
도검난무 / 쿠와사니 (쿠와나 고우 × 사니와)
쿠와나 맨눈이 하나마루 설정화 굿즈에 나온 기념.
좁은 곳에 갇혀 밀착해서 당황한 것일지, 눈앞에 다가온 예상치 못한 맨눈에 당황한 것일지.
※ 창작 사니와가 등장합니다
※ 드림 요소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 듀님의 트레틀을 사용했습니다
톤보사니 (톤보키리×사니와)
원래는 아까 올린 톤보사니 만화에 넣으려던 클로즈업샷.
배분이 애매해져서 뺐다가, 아까워서 가볍게 색을 얹었습니다.
감히 맨살에 입을 대진 못하고 옷소매에 입을 맞추는 충신(이었던 것)
※ 창작 사니와가 등장합니다
※ 드림 요소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검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