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혜가 반짝이는 속담]

‘옷’과 관련된 속담을 알아보아요.

국립국어원 소식지 ≪쉼표, 마침표.≫에서
더 많은 우리말 이야기를 만나 보세요.😘
https://t.co/kMVqKOI4pO


7 23

[지명, 알고 보니]

문학의 향기가 피어나는 곳으로 떠나볼까요?

국립국어원 소식지 ≪쉼표, 마침표.≫에서
더 많은 우리말 이야기를 만나 보세요.😘
https://t.co/WrB4jEA4AS



10 18

[지혜가 반짝이는 속담]

‘추석’과 관련된 속담을 알아보아요.

국립국어원 소식지 ≪쉼표, 마침표.≫에서
더 많은 우리말 이야기를 만나 보세요.😘
https://t.co/qwv9RuviMl


15 31

[쉼표가 있는 우리말]

국립국어원 소식지 ≪쉼표, 마침표.≫에서
더 많은 우리말 이야기를 만나 보세요.😘
https://t.co/6y7ijBNHDr



8 27

[지혜가 반짝이는 속담]

‘어울림’과 관련된 속담을 알아보아요.

국립국어원 소식지 ≪쉼표, 마침표.≫에서
더 많은 우리말 이야기를 만나 보세요.😘
https://t.co/eCAhHVrsHD


15 19

[우리 속담 이야기]

연꽃은 흙탕물에서 핀다.
이 속담은 무슨 뜻일까요?

국립국어원 소식지 ≪쉼표, 마침표.≫에서
더 많은 우리말 이야기를 만나 보세요.😘
https://t.co/J993olTnH0



21 52

[#우리말한입]
‘#주구장창’은 잘못된 표현입니다.
‘#주야장천’으로 써야 합니다.😉

주야장천: 밤낮으로 쉬지 않고 연달아

더 많은 우리말 이야기는
《쉼표, 마침표.》에서 만나 보세요.💕
https://t.co/6y7ijC5j21


456 250

[#공공언어이렇게고쳐요]
내용을 분명하게 쓰려면
의미가 서로 호응되는 단어를 잘 골라 써야 합니다.
어떻게 쓰면 좋을지 살펴볼까요?😀

더 많은 우리말 이야기는
≪쉼표, 마침표.≫에서 골라 보세요.
▶️https://t.co/6y7ijBNHDr


37 99

[우리말 한입]
‘왠-’은 ‘왠지’로만 사용합니다.😉

왠-: ‘왜인지’가 줄어든 ‘왠지’의 일부로
단독으로 쓸 수 없음
웬: ‘어찌 된’, ‘어떠한’을 뜻하는 관형사

더 많은 우리말 이야기는
《쉼표, 마침표.》에서 만나 보세요.💕
https://t.co/6y7ijC5j21


180 183

[꼬리에 꼬리를 무는 우리말]
사랑❤️을 나타내는 우리말은
무엇이 있을까요?🤔
흥미로운 표현을 확인해 보세요!



≪쉼표, 마침표.≫에서
더 많은 우리말 이야기를 전해 드립니다.
https://t.co/6y7ijC5j21

67 106

[우리말 한입]
'되/돼'는 '하/해'를 넣어 구분할 수 있어요.

내일 전화해도 되요?(하요)
내일 전화해도 돼요?(해요)

'하요'가 어색하므로
'해요' 즉, '돼요'로 적으면 됩니다.😉

더 자세히 보기
https://t.co/vdes4Z3BTI


125 126

[소리가 예쁜 우리말]
국립국어원과 함께하는
소리가 예쁜 우리말

몰몰: 냄새나 연기 따위가 조금씩 약하게 피어오르는 모양

*더 보기
https://t.co/IUZsytGDiW


80 9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