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례さんのプロフィール画像

오례さんのイラストまとめ


오례(五禮)는 조선시대 복식들을 제작 및 판매하는 단체입니다. 사담 계정은 오례지기(@Oreaeui1), 사진 계정은 오례 사진계정(@Oreaeui2)입니다.

フォロー数:2 フォロワー数:6564

다만 조선 후기가 되면 의녀·침선비·무수리·기녀·궁녀 등의 궁 안팎의 전문직 여성직들이 평상시나 또는 의례가 있을 때 주로 쓰는 쓰개류로 변화한 것으로 보이는데요. 실제 가리마를 쓴 모습은 조선시대 민간 및 궁중 회화 자료에서도 살펴볼 수 있는데, 전모 아래에 받쳐쓴 모습도 볼 수 있습니다.

16 28

그 외에도 교자색에서는 여(輿)와 연(輦), 교자(轎子)와 같은 가마, 그리고 상탁, 주렴, 궤, 함, 각과 같은 가구류들도 제작을 도맡았으며, 일산(日傘)과 같은 왕실 의장물들도 윗선의 지시가 있을 경우 제작하여 진상하기도 하였습니다. 말 그대로 못하는게 없는 만능 부서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지요.

7 9

마지막 일곱번째 편은 다음 웹툰에서 연재 종료된 서결 작가님의 《발자국이 녹기 전에》라는 작품에서 등장한 조선시대 관복 차림에 대해서 글을 작성했습니다. 《발자국이 녹기 전에》는 현재 완결작으로서 다음 웹툰에서 보실 수 있으니 여러분의 많은 관람 바랍니다.

13 11

여섯번째 편은 봄툰에서 연재됐던 YD&NIMBY 작가님의 《내시실격》에서 연출됐던 내시들의 복식을 주제로 작성했습니다. 《내시실격》은 현재 완결작으로서 봄툰에서 보실 수 있으니 여러분의 많은 관람 바랍니다.

11 8

세번째 편은 카카오 페이지에서 연재중인 허수아(글), 배로빈(그림) 작가님의 《마침내 푸른 불꽃이》 79화에서 잠깐 연출됐던 조선시대 국왕의 면복冕服을 주제로 작성했습니다. 《마침내 푸른 불꽃이》는 매주 화요일마다 카카오 페이지에서 독점 연재 되고 있으니 여러분의 많은 관람 바랍니다.

23 29

두번째 편은 네이버 웹툰에서 연재중인 천지혜, 산책 작가님의 《금혼령-조선혼인금지령》에서 등장하는 조선시대 국왕의 곤룡포를 주제로 작성했습니다. 《금혼령-조선혼인금지령》은 매주 금요일마다 네이버 웹툰에서 연재되고 있으니 여러분의 많은 관심 바랍니다.

13 37

오늘은 석주선기념박물관에서 소장중인 밀창군密昌君 이직(李樴,1677~1746)의 조복 차림을 공개합니다. 머리에는 오량관의 금관을 쓰고 겉에는 적초의와 속에는 옥색 창의(중단), 허리띠로는 대대와 품대(서대), 그리고 조대, 패옥과 후수를 둘렀으며 손엔 상아홀을 쥐고 신으로는 흑화를 신었습니다.

25 59

특히 그 중에서도 정조 임금의 자립과 전립 추정 복원 그림은 좌용곡()님께서 수고해주셨습니다. 이 자릴 빌려 진심으로 감사의 뜻을 전합니다.

(해당 이미지의 저작권은 오례와 좌용곡님에게 있으니 무단 사용을 금합니다.)

42 70

재밌는 점은 야자대也字帶라는 명칭의 경우, 착용 후 타미撻尾가 달린 긴 띠를 늘어뜨린 모습이 마치 也자의 모양처럼 아래로 꺾여서 축 늘어진 모습을 갖고 있기 때문에 야자대라고 불렀다고 합니다. 이 허리띠를 착용한 모습은 조선시대 궁중연회도에서 악공樂工의 복식에서도 흔히 볼 수 있습니다.

7 10

오늘 공개하는 초상화는 고종의 아버지인 흥선대원군 이하응李昰應(1820~1898)선생의 학창의본(1869년) 초상화입니다. 초상화 속 이하응은 청색의 학창의鶴氅衣와 받침옷을 입고 머리에는 사방관四方冠을 썼으며, 허리띠로는 자색紫色의 세조대細條帶를 둘렀으며, 끝으로 신발은 혜鞋를 신고 있습니다.

38 6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