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례さんのプロフィール画像

오례さんのイラストまとめ


오례(五禮)는 조선시대 복식들을 제작 및 판매하는 단체입니다. 사담 계정은 오례지기(@Oreaeui1), 사진 계정은 오례 사진계정(@Oreaeui2)입니다.

フォロー数:2 フォロワー数:6564

오늘 추가로 공개하는 사진은 이전에 아리네온님()님이 촬영하셨던 멋진 군관의 모습입니다. 촬영 장소는 정조 임금의 꿈이 담긴 수원 화성이었는데요. 머리부터 발끝까지 꼼꼼하게 잘 갖춰 입은 모습이 보기 좋습니다.

이렇게 더운 날씨에도 대단히 고생 많이 하셨습니다. 감사드립니다!

94 140

기록에 따르면 1품의 관료가 쓰는 관자는 조각도 없으며, 크기가 작은 옥관자였다고 합니다. 이를 '도리옥관자'라고 불렀는데요. 반대로 2~3품의 당상관들의 관자가 크고 조각있는 금이나 옥으로 된 관자를 사용하는 것이 관례였는데, 이를 '통정옥관자'라고 부릅니다.

23 35

이 날 『한중록』을 보면 사도세자는 자신의 마지막을 예감했던 것 같은데, 최대한 미친 척하며 자신의 생명을 연장해보려고 했던 것 같습니다. 결국 그 날 이후로 혜경궁 홍씨에게 휘항이라는 것은 남편을 향한 애절한 슬픔과 한(恨)으로만 남았을 것 같습니다. 오늘의 복식사 이야기 마칩니다.

17 36

다음은 '홍도이지화(紅桃二枝花)'라는 꽃입니다. 말 그대로 붉은 복숭아 꽃이 두 갈래로 나뉘어 핀 꽃을 말하는데요. 이는 문무백관과 내외귀빈용이었다고 합니다. 홍도이지화가 있다면 '홍도일지화(紅桃一枝花)'도 있겠지요? 홍도일지화는 무예별감과 시위군사들이 쓰개류에 꽂았다고 합니다.

22 49

세번째, 흑단령(黑團領) 차림으로, 위,아래에 서있는 무관은 마찬가지로 익위사 소속 정 5품 좌익위(左翊衛)•우익위(右翊衛)로 추정됩니다. 이들은 단령에 사모를 쓰고, 흑각대와 녹색 다회를 맸는데, 철종 어진에서 보이는 것처럼 녹색 다회를 이용해 운검(雲劍)을 패용하고 수화자를 신고 있습니다.

15 13

두번째, 철릭(帖裏) 차림으로 위,아래에 있는 무관은 세자를 호위하는 익위사 소속 종 5품 좌사어(左司禦)•우사어(右司禦)로 추정됩니다. 이들은 철릭에 흑립을 쓰고, 다회를 맸으며 붉은색 동개를 이용해 궁시를 패용하고 수화자를 신고 있습니다. 갓에는 주렁주렁 엮어서 달린 패영도 눈에 띕니다.

15 18

오늘 오례는 제 2회 갱상도골미 전시회에 다녀왔습니다. 규방공예,전통복식,방탄소년단 인형에 입힌 한복,전통염색 등 창원 인근에 사는 다양한 분야의 예술가들이 모여서 펼쳐지는 이번 특별전에서 한땀한땀 정성스레 바느질로 만든 작품들을 맘껏 둘러보며 눈호강을 했답니다.

9 17

홍화를 이용해 염색하는 방법은 홍화 꽃잎을 이용했다고 하는데, 더 짙은 붉은색으로 염색해낼수록 기술이 뛰어난 염색장으로 인정 받았다고 합니다. 조선시대 국왕의 시사복인 곤룡포나 신하들의 시복인 홍단령에 사용되는 붉은 옷감은 모두 옷감에 붉은색을 잘 우러나게 염색 한 것을 사용했겠지요.

31 38

인기 유튜버 "써에이스쇼"님의 작품 <당신이 몰랐던 임진왜란 총 정리>의 조선시대 복식 자문을 해드렸습니다.

기존의 문무백관의 관복제도와 군복, 갑주 부분을 자문해드렸는데요. 써에이스쇼님의 시간상 한계로 완벽하게 적용하진 못했어도 많은 수정 사항이 있어 기쁘게 생각합니다.

11 15

이번에 만든 영조 어진 속 곤룡포 입니다. 곤룡포의 흉배는 금박으로 작업했으며, 단령은 18세기, 즉 영조와 동시대 인물이자 왕족인 밀창군 이 직(1677~1746)의 겹단령 유물 중 하나의 크기를 참고해 제작했으며, 의상 제작은 님께서 수고해주셨습니다. 이 자릴 빌려 감사드립니다.

21 3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