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레/누해さんのプロフィール画像

인레/누해さんのイラストまとめ


영화를 만들고 글 쓰는 통 속의 뇌. 이야기에 대해 이야기를 합니다. 단편 영화 〈닫힌 세계와 그 친구들〉(2022), 도서 《창작자를 위한 지브리 스토리텔링》(2024) & To be continued!
inleminati.com/bsky

フォロー数:1167 フォロワー数:32578

트레인 하트네트, <블랙캣>

9 14

(Fact) 사실 딱히 동면한 적은 없었다. https://t.co/7HGRjY0y1m

0 10

이후 조지 밀러 감독은 절치부심하며 아동 영화에 대한 WONHAN을 풀게 되는데 그것이 바로 <해피 피트>입니다. 결코 하늘에서 뚝 떨어진 영화가 아닌 셈이지요.

44 67

<매드맥스>의 연출자가 만든 <해피피트>가 매드맥스와는 너무나도 상반된 분위기 때문에 어떻게 같은 감독이 이렇게 다른 두 영화(애니)를 만들 수 있냐며 팬들 사이에서 재밌는 이야깃거리가 되고 있지만 사실 두 시리즈를 연결해주는 또 다른 시리즈가 있습니다. 바로 <꼬마 돼지 베이브>입니다.

529 541

가장 많이 넣게 되는 '아무런 특성 없는 요리 재료'는 겨울을 한 번 나면 냉장고에 잔뜩 쌓이게 되는 '얼음'입니다. 그래서 굶지마에서 제일 자주 먹게 되는 미트볼의 재료는 대체로...

16 17

이러한 '과잉순응' 전략은 포스트모더니즘의 위세가 남아있었던 90년대 페미니즘 무브먼트에도 시도되었고, 이쿠하라 쿠니히코가 <소녀혁명 우테나>를 만들 때에도 적극적으로 차용됩니다. 하지만 과잉순응 전략은 곧 한계를 드러내고 맙니다.

289 169

미야자키 하야오의 말대로, 에보시는 곧 바사라입니다. 에보시는 여성이지만 중앙 정부가 힘을 잃고 사회가 어지러워졌기 때문에 본인만의 '세'를 만들 수 있었습니다. 나아가 자신만의 나라(마을)를 만들 수 있기도 했죠. 에보시가 통치하는 타타라 마을은 인간적인, 너무도 인간적인 이상향입니다.

101 167

"오래 전, 이 나라는 깊은 숲에 둘러싸여 있었고, 그곳에는 태곳적부터의 신들이 살고 있었다."

오늘 이야기를 할 작품은 미야자키 하야오 필생의 라이프워크라 할 수 있는 작품. <모노노케 히메>입니다.

7031 6224

하지만 나우시카의 결론은 이러한 뉴타입 사상을 전면에서 부정하는 것처럼 보이기도 합니다. 결국 나우시카가 내린 '인간'의 결론을 생각하면 더욱 그렇습니다. 나우시카의 곁에 있던 한 국왕이 '푸른 청정의 땅'의 진실에 대한 일갈 장면이 모든 걸 정리해줍니다.

26 60

미국 성장영화의 양대산맥
<스탠 바이 미>와 <구니스>
스탠 바이 미는 '성장'
구니스는 '어드벤처'에 큰 영향을 미쳤죠.

16 4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