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ime() ?>
건랜스를 쓰는 우리의 하이랜더이신 백파이프를 얻고 싶어요 ㅠㅠ
닮은 꼴
이 그림이 바로 그 방문한 결혼식 잔치를 보고 그린 거라네요.
@beetie135 아 그러니까 이 에조 때의 갑주가 실은 그들이 샤모라고 부르던 이들의 영향을 받아서 만들어졌을 여지가 크다는 건가요? 들은 바로는 일본의 야부사메가 에조 영향을 받은 것도 있는데 에조랑 접전 전인 헤이안 시대에도 있다고 들었네요 ㅇㅇ
1820년에 이집트의 무함마드 알리는 수단 출신의 노예들을 훈련시키고자 아스완에 맘루크 부대를 파견했고, 그곳에 막사를 건설했다고 합니다. 이 아스완에서 수단인 노예들을 병사로 훈련시키는 담당은 나폴레옹 휘하에서 참전경력이 있는 솔리만 파샤가 맡았다고 합니다.
오만쪽 아랍인들과 그 오만이 차지했던 잔지바르 섬과 탄자니아와 케냐 등에 거주하는 스와힐리족도 쓰는 것으로 여겨지는 도검류인 카타라. 수단의 카스카라처럼 시미터 이전의 아랍권에서 쓰던 양날검 양식이 그대로 보존된 케이스 같습니다.
아프리카권 기병 디자인 모음이라네요
@kpfw_i 벨기에 식민지인 콩고 자유국의 용병경찰 영문명 퍼블릭
@kpfw_i 알래스카 틀링기트족
@kpfw_i 19세기 이집트에선 수단에서 잡아온 노예들을 훈련시켜서 양성한 노예병들로 지야이야가 있다고 합니다. 무함마드 알리의 후임이자 그의 손자인 이스마일 파샤가 영국의 압력으로 노예제를 폐지했다는 점에서 그때까지 양성된 듯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