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라의 에일리언さんのプロフィール画像

신라의 에일리언さんのイラストまとめ



フォロー数:690 フォロワー数:1339

흔히 산신령으로도 불리는 산신은 한국 불교에서 산신각이란 장소로도 모셔집니다. 그리고 여신으로도 묘사되고, 부부신으로도 묘사되지요.

1 4

영어에서 군단을 의미하는 단어인 리전은 라틴어 레기온이 어원입니다. 그리고 이 군단이란 표현은 신약성서에서 예수가 쫓아낸 악마의 이름으로도 나오는데, 스스로 그만큼 무수히 많다고 소개하는 점에서 "다수이지만 동시에 하나"라는 특징에서 매스 이펙트의 게스 출신인 리전이 스스로 자칭.

0 3

흔히 게이트 오브 바빌론 또는 바빌론의 문이라 불리는 구조물의 진짜 이름은 여신 이슈타르의 문. 그런데 원전에서 길가메시랑 이슈타르는 사이가 나쁘더군요. 바빌론의 정문인 이 구조물은 영화 토미리스에서도 등장.

2 4

북유럽, 영국, 독일에 걸쳐서 전승이 있는 여러 인간이 아닌 무리들인 와일드 헌트. 인간에게 아주 적대적이라고 합니다.

0 2

성 요한 기사단, 로도스 기사단, 몰타 기사단 등으로 불리는 십자군 당시 성전기사단처럼 예루살렘에서 창설된 기사수도회인 구호기사단은 십자군 이후로는 로도스 및 몰타를 거점으로 무슬림 상대로 해적질도 했더군요. 어쌔신 크리드와 블루 아카이브에선 어째 이상한 쪽으로 의사양반 느낌이.

0 0

수피즘의 데르비쉬들은 반제국주의 활동으로도 유명했습니다. 동아프리카 수단의 마흐디파와 소말리아의 다라위시(소말리어로 데르비쉬)가 그 사례. 그리고 러시아 제국에 맞선 체첸과 다게스탄의 무리드라는 이들도 수피즘에서 사실 제자를 지칭하는 단어.

0 4

콩고 출신이자 가톨릭으로 개종하고 콘키스타도르이기도 했던 후안 가리도와 지금의 에콰도르에서 원주민들과 통혼 및 정복으로 스페인 왕실에 충성한 아프리카계인 돈 프란시스코 데 아로베. 이와 같이 스페인에서 아메리카권 정복에 아프리카 출신들이 좀 보입니다.

0 3

레인저의 어원은 라틴어로 삼림헌장이란 뜻의 켄티오나토레스 라고 카더라는데, 영국의 정복자 윌리엄이 사슴의 사냥과 숲의 벌채권을 관리하고자 파견된 공무원들이라고 합니다. 그래서인지 현재는 공원 관리인이란 의미도 있으나, 그만큼 위험한 일에 뛰어드는 사람이란 의미로도 쓰이더군요.

0 3

폴아웃의 브라더후드 오브 스틸과 워해머 40000의 스페이스 마린은 챕터 단위로 조직되어 있는데, 영어단어 챕터가 책의 어느 장(章)을 의미하기는 하지만 동시에 한 교구의 사제집단을 의미합니다. 동시에 지부도 의미.

0 1

영어로는 스캐럽. 프랑스어로는 스카라베. 고대 이집트어로는 아프샤이(콥트어로는 에프쉬, 에프셰) 라고 불리는 쇠똥구리는 태양이 뜨고 지는 것을 상징하며 이를 담당하는 신으로 케브리가 존재합니다. 매체에서도 꽤 묘사될 만큼 고대 이집트적 요소중 하나랄까.

0 0